본문 바로가기

시작/기본

개발자가 창업 전에 만나야할 사람들

커뮤니티

당신의 비전과 기술을 가장 잘 이해해줄 응원군이 있을만한 커뮤니티가 있는가? 없다면 지금이라도 만들어야한다. 그리고 창업하기 전에 그 커뮤니티에 헌신하자. 사업하는 내내 당신과 기업에 무형의 큰 자산이 되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학연과 지연의 네트워크만으로는 절대로 충분하지 않다. 당신이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당신이 뛰어들 그 시장에서 미리 주인공이 되어야 한다.

사실 나는 사업하기 2년전부터 나의 기술 분야에 대해 커뮤니티를 만들어 운영해왔다. 그때는 사업할 마음이 없었기 때문에 정말 순수한 마음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했다. 그리고 그 커뮤니티 활동 덕에 내가 창업한 회사는 어렵지 않게 해당 기술 분야의 브랜드 마케팅을 할 수 있었다.

투자자

주위의 개발자 출신 창업가들이 처음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자신의 사업 계획을 남에게 설명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보통 주위의 친한 사람들은 이제 막 시작한 창업가에게 그저 응원과 격려를 할 뿐 쓴소리를 던지지 않는다. 심지어 사적으로 알고 지내는 멘토조차도 웬만하면 까칠하게 대하지 않는 편이다. 때문에 창업을 위해 사직서를 던지기 전에 다섯군데 이상의 투자사 심사역들을 만나볼 것을 권한다. 투자사 심사역들은 그들이 직접 투자를 해야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당신의 사업에 대해 무조건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물론 당신은 실망할 것이다. 자기의 사업계획에 대해 실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이해하지 못하고 기초 지식도 거의 없는 투자사 사람들에 실망할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오히려 정말 좋은 경험이다. 앞으로 당신이 만나게 될 수없이 많은 투자사들은 대부분 그 정도 자세와 태도로 당신을 대할 것이다. 그들은 변하지 않는다. 업계에서 유명하다는 투자사라도 아마 반응은 다르지 않을 것이다. 결국 당신이 변해야한다. 당신의 깊은 생각을 끄집어 내어 정교한 사업 계획을 세워 단 한 사람의 투자사 심사역이라도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보자.

예비 고객

아무리 작더라도 고객이 이미 있는 상태의 제품과 그렇지 못한 제품 사이에는 큰 간극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제품을 만들고 고객을 모집하는 게 맞다. 하지만 가상의 고객을 상대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보통 제품을 기획할 때 페르소나 기법등을 이용하여 가상의 고객을 상정하여 개발을 한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확실한 것은 실제 고객을 확보하고 그 고객을 100% 만족한다는 마음으로 하는 것이다.

때문에 초반에는 무료라도 제품의 사용자가 되어주겠다는 고객이 있다면 무조건 확보해야만 한다. 아니 소액의 사례라도 하여 고객을 확보하는 것을 추천한다.

내 경우에도 창업 전에 확보한 두 고객사가 정말 큰 도움이 되었다. 그 당시에는 두 업체 모두 작은 스타트업이었지만 나의 사업과 같이 성장하여 지금은 한 업체의 경우 유니콘급의 성장을 하였다. 이렇듯 굳이 대기업 고객사를 처음부터 확보할 필요는 없으며 작더라도 협업이 가능한 고객사를 확보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경쟁사 임직원

경쟁사라는 표현은 조금 극단적인 표현이 아닐까 싶다. 당신이 사업을 할 때에는 만나기 어려울 수 있는, 하지만 백수이거나 직장인이었을 때에는 만날 수 있는 그 업계와 시장의 거의 모든 사람을 만나자. 그리고 그 중에서도 자신과 죽이 잘 맞는 사람과는 더 자주 연락하고 지내자. 스타트업 대표일 때에는 아무래도 어깨에 힘을 주고 만나야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개발자인 당신은 사업이나 시장에 대해 X알못이라는 걸 티내며 좀 더 가볍고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다. 이렇게 가볍게 만난 사이는 나중에 사업을 하면서도 채용이나 사업 기회등에서 큰 역할을 하곤 한다.

친한 경쟁사 임직원이 있다면 그 업계가 아니면 알 수 없는 지식을 미리 확인해볼 수도 있다. 제품의 납품 가격 구조나 마진율, 일반적인 유지보수율, 견적서의 형태나 납품하는 절차, 고객사의 형편이나 관심사, 경쟁사의 파트너사 등을 사업하기 전에 미리 숙지할 수 있다면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시작 >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CEO 가 되어도 될까?  (0) 2021.04.30
개발자의 창업이 유리한 이유  (1) 2021.04.30
개발자는 왜 창업을 결심할까?  (0) 2021.04.30